본문 바로가기

365 건강한 생협/봉사와나눔

2012/9/20) 지역중심 사회공헌 활성화 워크숍

지역중심 사회공헌 활성화 워크숍



- 나눔 문화 표창


- 도지사님 축사


- 지속가능한경영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라임글로브대표 http://www.limeglobe.com

라인글로브

사례) 태안 기름유출사건 : 수만명의 자원봉사자가 자원봉사에 뛰어들었다. 

단순기부 -> 전략적투자

대기업 매년 1년에 5천억씩 사회공헌에 투자하고 있다.

금융권 천억원


1989 엑슨발데즈호 사건 : 알레스카연안에서 침몰했다.

NGO에서 - 환경NGO단체 지원금을 끊겠다고 했지만 상황이 좋아지지 않자 기업이 

직접적으로 사회공헌에 나서게 되었고 삼성도 사회공헌팀을 만들게 되었다.

그러나 IMF이후 2004년에 삼성 및 공기업들과 사회공헌의 르네상스 시대를 열게 되었다.


 그 선봉에 ISO 26000이 있습니다. 사회공헌 국제 표준화기준

 철학 : 자선은 기본,  핵심은 조직의 박애주의적 활동에 지역사회가 의족하도록 하는 활동은 배제

     아프리카에 한끼 절약해 주는식의 방법에서 우물을 파주거나 하는 사업으로 바뀜

      전자의 경우 기부가 중단되었을 시 굶어 죽을 수 있다. 현재는 묘목이나 양을 키워 생활을 돕는다.

      양의 경우 숫1+암2 기부하고 첫새끼는 본인 가정이 두번째 부터는 주변의 가난한 집에 분양해 주도록 한다.

      물부족으로 오는 사회적 문제 : 여성들이 허리가 굽는다/불임

      우물을 파주면 학교에 보낼 수 있다. 우물옆에 학교가 생긴다. 이 아이들이 교육을 받아 다시 지역사회로

      유입되어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게 하기 위한 미래사회 트렌드이다.

 예 ) 아프리카에 에이즈에 대해 - 약만 보내는 것이 아니라 치료 이후에 캠페인까지 인식시킬수있도록

       장학금 - 주는것만이 아니라 교육의 질에 대해 계속적으로 교육 받을 수 있도록 지원 및 자원개발하는것

                    시골학교 현장실습을 갔었던 경험 : 가난한아이들 도와줄 필요없다,게으르다

                    선생님이 불러 이야기 했지만 집에 꿈과 희망을 심어줄 사람이 없기 때문에 그런 아이들에게

                    기업이 사회공헌을 통해 꿈과 희망을 심어줄 수게 하는것이다.

 지역사회참여/교육과문화/고용 창출과 능력 개발/기술개발/부와소득창출/보건/사회투자



세계3대 석학이 사회공헌

1. 마이클포터 "공유가치(Created Shared Value)" 모두가 행복하게  

   사례)노르웨이 Yara사(비료재조업체:다국적기업) 아프리카 사회공헌

           : 탄자니아와 모잠비트 20만명 영세 농가가 혜택을 보았고 35만명의 일자리가 창출되었다.

             농가의 비료를 Yara사의 비료를 쓰게 되므로 서로 서로 좋은 공유가치를 가지게 됨

2. 필립코틀러 "공헌 마케팅" (상품에 몇%을 어디에 쓰겠다)

    사례) 탐스슈즈 

    : 맨발로 걸어가는 아르헨티나사람들을 보고 충격을 받음. 이 세상에는 돈이 없어 신발을 신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One for One캠페인을 벌임 : 하나를 발면 하나를 기부하겠다

       2~3년만에 5조를 넘어섰다. 남아프리카에 5만 컬레를 재공했다.

3. 빌게이츠 "따뜻한 자본주의"  적정기술만을 넣어 아주싸게 불우한이들에게 재공 

    우물에 빨대필터를 1불미만으로 제공

    물 기를때 타이어형 이동할 수 있도록 

    음성과 계좌이체가 가능한 최저 핸드폰을 만들어 판매 


* 공통점

: 사회공헌을 통한 공익과 기업의 이익의 공존이다.

   공익 + 이익

=============================================================================================================


경기도 사회공헌사업 안내

최진훈 센터장 발표

4조 7천억 - 예산의 한계와 제도적 문제가 있는 복지 사업이 있다.


1. 무한돌봄사업

경기도 대표 브랜드 

31개 시군에서 운영체제를 구축하여 위기에 처한 가정이나 주민에게 생계,의료,주거등 생활안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

-선지원 후심사

-맞춤형 사례관리

-민간과 공공의 공조

  1만 2500개, 지원 P001구축

  현재 도1, 시군 31개소 무한돌봄센터 운영중

  95개 네트워크팀 631명


2. 나눔문화 활성화

3. 사회공헌 사업 제안

    사례 발표

    교재 31 학업 중단 청소년 직업체험/인턴쉽 제공부분...